편의시설 소개
고객을 가장 먼저 생각했습니다.
지하철 역사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여행을 마치고 출구를 나설 때까지 고객의 눈높이에 맞추었습니다.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여행, 메트로 9호선이 함께 합니다.
지하철 역사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여행을 마치고 출구를 나설 때까지 고객의 눈높이에 맞추었습니다.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여행, 메트로 9호선이 함께 합니다.
편의시설 개요
- 범용 디자인에 충실한 편의시설
- 장애 및 교통약자를 위한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디자인
- 장애종류에 따라 소요 시설을 분석하여 적정 위치에 설치

외부출입구 → Free Zone → 개찰구 → Paid Zone →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 승강장
장애인 편의시설 (유도타일→ 장애인화장실, 장애인용개찰구→ → 에스컬레이터 → 승차위치)
일반인 편의시설 (자전거보관소,자판기→공중전화,스크린도어→물품보관함,ATM→즉석사진자판기,(매표)편의점→어린이용화장실→핸드레일)
범용 디자인의 7대 원칙

범용 DESIGN 7대 원칙(동등한 사용, 손쉬운 이동, 안정성, 적당한 크기와 공간, 힘들지 않은 조작, 정보이용의 용이, 사용상의 융통성)
누구에게나 알려져 있는 디자인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들 및 청각, 시각 장애인 같이 장애요소를 잠재적으로 가진 사람들은 종종 건물 전체가 장애물로 여겨짐 → 계단을 최소화하여 장애인의 이용에 지장이 없도록 함. 장애종류에 따라 다양한 편의시설 확충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들 및 청각, 시각 장애인 같이 장애요소를 잠재적으로 가진 사람들은 종종 건물 전체가 장애물로 여겨짐 → 계단을 최소화하여 장애인의 이용에 지장이 없도록 함. 장애종류에 따라 다양한 편의시설 확충